이 글에서는 기존 자판과의 차이를 살펴보고, 직접 개발한 피로도 측정 모델을 비롯한 데이터를 통해 정량적으로 자판을 비교합니다.


두벌식

펼치기

우선 두벌식 자체의 문제점은, 윗글쇠(Shift 키) 사용이 잦고, 같은 글쇠, 같은 손가락을 거듭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로가 빨리 누적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숫자열을 사용하지 않고 좀더 배우기 쉬운 등의 이점도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국가 표준 두벌식은 또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빈도 분석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자판을 만들었다는 거죠.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자판을 사용하면 상당히 피로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반면 국가 표준 두벌식은 이러한 고려를 덜 하고 만들었기 때문에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큰 부담을 줍니다.

세벌식은 윗글쇠를 적게 쓰거나 아예 쓰지 않고, 같은 손가락을 혹사시키는 비중이 적습니다. 특히 3-2015는 더욱 그렇구요. 따라서 오래 타이핑할 때 훨씬 쾌적합니다. 실제로 타자연습을 하면, 두벌식은 짧은글과 긴글의 타자 속도가 상당히 다른 반면, 세벌식은 그 차이가 적습니다.

그럼 데이터로 두 자판을 비교해 봅시다.

두벌식이 윗글쇠를 훨씬 많이 누름을 알 수 있습니다. 대략 38번에 한 번 꼴인데, 3-2015는 아예 누르지 않아도 되고(순아래), 설령 누를 만큼 눌러도 1/5 정도밖에 누르지 않습니다.

같은 글쇠를 연타하는 경우 또한 두벌식이 많습니다. 3-2015는 사실상 연타가 없습니다.

두벌식은 대략 22번에 한 번씩 같은 손가락을 연달아 쓰게 됩니다. 반면 3-2015는 그런 경우가 1/6 수준입니다.

손가락을 얼마나 많이 쓰는지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세벌식은 검지와 중지를 많이 쓰는 반면, 두벌식은 약지와 새끼손가락 또한 많이 쓰고 있습니다. 강한 손가락을 많이 쓰고 약한 손가락은 적게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손을 움직여 누적되는 피로를 나타냈습니다. 두벌식은 숫자열을 쓰지 않기 때문에, 세벌식에 비해 손의 이동 거리 측면에서는 우위에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한 글쇠를 누르는 데 들어가는 피로는 두벌식 쪽이 높습니다. 윗글쇠를 많이 누르는 데다가, 표준 두벌식은 자모 빈도를 별로 신경쓰지 않고 배치했기 때문입니다.

계속되는 타이핑에는 같은 손가락을 많이 혹사시키는 두벌식 쪽이 피로가 많이 누적됩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비록 두벌식이 손을 덜 움직이긴 하지만, 그 외의 원인에 따른 피로 누적은 세벌식 쪽이 훨씬 적다는 결론입니다.

접기

세벌식 390

펼치기

세벌식 390 자판은 옛날 IBM 환경에서 사용하기 좋도록, 특수기호를 QWERTY 자판과 가급적 많이 일치시킨 자판입니다. 반면, 몇 가지 겹받침은 입력하기 까다롭고 종성 이 먼 위치에 있는 등, 한글 입력에 있어서는 약간 불편한 측면도 있습니다.

3-2015 자판은 390 자판의 이점, 즉 QWERTY 자판과 많이 일치하는 특수기호 위치를 가지고 있으면서, 한글 입력이 더욱 편리해지고 피로도가 줄어든 자판입니다. 두 자판의 차이점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390 자판에만 있는 부분
3-2015 자판에만 있는 부분

, , , , , 는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입력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아래쪽에 적었습니다. 우선, 제일 적응하기 힘든 점은 의 자리가 바뀌었다는 겁니다. 자주 나오는 모음이니, 타자연습을 통해 적응하시기를 권합니다. 그 다음으로 불편한 점은 아마 숫자 입력일 겁니다. 3-2015 자판에서는 숫자를 두 줄로 입력합니다. 이 둘을 극복하고 나면, 나머지는 빈도가 그리 높진 않으므로 차근차근 익혀 나가시면 됩니다.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덧붙입니다.

3-2015를 순아래 방식으로 사용한다면 물론 윗글쇠를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최대한 윗글쇠를 많이 눌러도, 390 자판의 절반밖에 윗글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3-2015의 선택 규칙(된소리는 옆 글쇠를 같이 눌러 조합)을 사용한다면, 같은 글쇠를 연타하는 비율이 비약적으로 낮아집니다.

세벌식에서 된소리 때문에 같은 손가락을 거듭 사용하는 경우를 줄였으므로, 390 자판이 49번에 한 번 정도 같은 손가락을 연타하는 데 반해 3-2015 자판은 131번에 한 번 꼴로 연타합니다.

​글쇠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누르기 어려운 위치에 있느냐, 그리고 윗글쇠를 얼마나 사용하느냐 등을 측정했습니다. 3-2015 자판이 더 글쇠를 누르기 쉽습니다.

같은 손가락 연타를 줄이고 자판을 효율적으로 배치해, 3-2015는 연속적인 타이핑에도 손이 덜 피로합니다.

3-2015는 390에 비해서도 피로도가 많이 감소했습니다. 두벌식에서 세벌식 390 자판으로 갈아타고 손이 편안해졌다면, 3-2015를 사용해 보시면 거기서 또 한 단계 편안해집니다.

접기

세벌식 391(최종)

펼치기

세벌식 391 자판은 현재 한국에서 제일 많이 쓰는 세벌식 자판입니다. 다른 목적보다도 문인들을 배려해 원활한 한글 입력을 위해 만든 자판으로, 문인들이 많이 쓰는 특수기호 등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로 옮겼고, 모든 겹받침을 자판에 담았습니다. 다만, 그 때문에 일반적인 사무, 프로그래밍, 웹 개발 등에는 오히려 불편해졌습니다. QWERTY 자판에 없는 특수기호도 있고, 또 요즘에는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특수기호도 있습니다. 저는 10년 넘게 391 자판을 썼지만, 결국 특수기호 위치는 다 외우지 못했습니다.

또한, 세벌식 391에서는 홑받침을 조합해서 겹받침을 입력하기 힘듭니다. 권장하는 방법도 아니거니와, 글쇠가 조합하기 힘든 위치에 있기도 하고, 많은 경우 홑받침을 조합해서 겹받침을 입력하기 불편합니다. 즉, 실질적으로는 겹받침 위치를 모두 외워야 합니다. 입문자에게 부담스러운 것은 물론이요, 오래 쓴 사람들도 잘 나오지 않는 겹받침을 못 찾아 헤매는 경우도 있습니다.

3-2015 자판은 391 자판처럼 모든 겹받침을 담되,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홑받침을 조합해서 겹받침을 입력할 수 있게끔 하였습니다. 또, 일반적인 사무에 사용하기 좋도록 특수기호를 QWERTY 자판과 가급적 일치시켰습니다. 그러면서도 한글 입력은 조금도 불편해지지 않고, 오히려 편안해졌습니다. 두 자판의 차이점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391 자판에만 있는 부분
3-2015 자판에만 있는 부분

, , , , , 는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입력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아래쪽에 적었습니다. 우선, 제일 적응하기 힘든 점은 의 자리가 바뀌었다는 겁니다. 자주 나오는 모음이니, 타자연습을 통해 적응하시기를 권합니다.

​그 다음으로 뚜렷하게 드러나는 차이점은 특수기호 위치입니다. 391 자판에는 문인들이 많이 쓰는 부호가 입력하기 편한 위치에 있습니다만, 몇 가지 QWERTY 자판에 있는 특수기호가 없습니다. 3-2015 자판은 특수기호를 QWERTY 자판에 가깝게 배열했기 때문에, 일상적인 사무에도 쓸 수 있습니다. 큰따옴표 “, ”가 없어졌지만, 요즘 워드 프로세서에서 알아서 처리해 주고, 또 "과 굳이 구분하여 쓰지 않는 추세이기 때문에 큰 불편은 없을 것입니다. 가운뎃점이 없어진 것은 아쉽긴 합니다.

세벌식 391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겹받침의 경우는, 3-2015에서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했기 때문에 적응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입니다. ​과 ​은 한 칸 내려온 것뿐이고, 나머지는 잘 쓰지 않는 겹받침이니까요.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덧붙입니다.

3-2015를 순아래 방식으로 사용한다면 물론 윗글쇠를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최대한 윗글쇠를 많이 눌러도, 391 자판의 절반밖에 윗글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3-2015의 선택 규칙(된소리는 옆 글쇠를 같이 눌러 조합)을 사용한다면, 같은 글쇠를 연타하는 비율이 비약적으로 낮아집니다.

세벌식에서 된소리 때문에 같은 손가락을 거듭 사용하는 경우를 줄였으므로, 390 자판이 50번에 한 번 정도 같은 손가락을 연타하는 데 반해 3-2015 자판은 131번에 한 번 꼴로 연타합니다.

​글쇠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누르기 어려운 위치에 있느냐, 그리고 윗글쇠를 얼마나 사용하느냐 등을 측정했습니다. 3-2015 자판이 더 글쇠를 누르기 쉽습니다.

같은 손가락 연타를 줄이고 자판을 효율적으로 배치해, 3-2015는 연속적인 타이핑에도 손이 덜 피로합니다.

3-2015는 391에 비해서도 피로도가 많이 감소했습니다. 두벌식에서 세벌식 391 자판으로 갈아타고 손이 편안해졌다면, 3-2015를 사용해 보시면 거기서 또 한 단계 편안해집니다.

접기

세벌식 최종 순아래

펼치기

세벌식 최종 순아래 자판은 세벌식 391 배치와 완전히 호환되면서도, 연구를 통해 순아래 입력을 가능케 하고 피로도를 낮춘 좋은 자판입니다. 선택 규칙 중 된소리 조합 규칙은 이 자판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세벌식 최종 순아래는 391 자판과 완전히 호환되기 때문에, 호환성 측면에서는 흠잡을 곳이 없습니다. 다만, 호환성 때문에 특수기호의 배치가 여전히 까다로운 것이 흠이라면 흠입니다.

3-2015 자판은 391 자판과의 호환성을 과감히 포기하면서 더욱 현실성 있고 편안한 배치를 만들기 위한 노력 끝에 나온 결과물입니다. 그러면서도 세벌식 최종 순아래의 좋은 점을 가져오고, 더욱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덧붙입니다.

세벌식 최종 순아래는 연타를 완전히 배제했습니다. 3-2015에서는 갈마들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 +과 같은 경우 연타가 발생합니다만, 2500번에 한 번 꼴이므로, 연타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습니다.

같은 이치로, 세벌식 최종 순아래보다는 3-2015가 같은 손가락을 거듭하여 쓰는 경우가 잦습니다만, 심각하게 차이가 크지는 않습니다.

반면 3-2015는 세벌식 최종 순아래에 비해 손을 움직여 발생하는 피로가 조금 적습니다. 세벌식 최종 순아래는 391 자판보다 손을 더 움직여야 하지만, 3-2015는 순아래 방식으로 입력하더라도 손을 움직이는 거리에 차이가 없습니다.

​글쇠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누르기 어려운 위치에 있느냐, 그리고 윗글쇠를 얼마나 사용하느냐 등을 측정했습니다. 3-2015 자판이 더 글쇠를 누르기 쉽고, 순아래 방식을 사용한다면 윗글쇠를 덜 누르므로 더욱 피로도가 감소합니다.

세벌식 최종 순아래에서는 겹받침을 양손으로 나누어 치므로 391 자판보다 왼손을 덜 혹사시킵니다. 3-2015는 효율적으로 글쇠를 배치했고 받침이 넓게 퍼져 있으므로 더욱 피로도가 감소합니다.

만일 컴퓨터를 혼자 써서 391 자판과의 호환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거나, 특수기호를 편리하게 입력하고 싶다면 3-2015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롭습니다. 반면, 입력기를 설정하기 어렵고 다른 컴퓨터로 여기저기 옮겨다녀야 한다면 세벌식 최종 순아래를 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접기

세벌식 3-2011

펼치기

3-2011 자판은 391 자판의 특징을 살리면서 최대한 특수기호를 QWERTY 자판과 가깝게 배열한 자판입니다. 사용 빈도가 극히 낮은 겹받침 셋을 뺀 것은 사람에 따라 아쉬울 수도 있겠습니다만, 덕분에 특수기호를 입력하기는 용이해졌습니다. 현재는 3-2015나 그 변종을 사용하기를 권하고 계시지만, 좋은 자판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3-2015 자판은 3-2011 자판과 비교했을 때 특수기호 위치가 QWERTY에 더 가깝고, 빠진 겹받침 셋도 다시 담았습니다. 또한 갈마들이 입력 방식을 사용하고 홑받침을 재배치하여 피로도가 더욱 감소했습니다. 두 자판의 차이점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3-2011 자판에만 있는 부분
3-2015 자판에만 있는 부분

, , , , , 는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입력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아래쪽에 적었습니다. ​3-2011 사용자는 위치가 그대로이므로 적응하기 쉬운 편입니다. 특수기호도 QWERTY와 유사하니 특별히 외우는 데 곤란한 점은 없을 것입니다. 또, 겹받침도 3-2011과 비슷한 위치에 있고, 자주 쓰는 겹받침은 한 줄 내려온 것뿐입니다. 위치가 바뀌었습니다만, 빈도도 생각보다 높지는 않고, 적응하는 데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겁니다.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덧붙입니다.

3-2015를 순아래 방식으로 사용한다면 물론 윗글쇠를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최대한 윗글쇠를 많이 눌러도, 3-2011 자판의 절반밖에 윗글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3-2015의 선택 규칙(된소리는 옆 글쇠를 같이 눌러 조합)을 사용한다면, 같은 글쇠를 연타하는 비율이 비약적으로 낮아집니다.

세벌식에서 된소리 때문에 같은 손가락을 거듭 사용하는 경우를 줄였으므로, 3-2011 자판이 50번에 한 번 정도 같은 손가락을 연타하는 데 반해 3-2015 자판은 131번에 한 번 꼴로 연타합니다.

​글쇠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누르기 어려운 위치에 있느냐, 그리고 윗글쇠를 얼마나 사용하느냐 등을 측정했습니다. 3-2015 자판이 더 글쇠를 누르기 쉽습니다.

같은 손가락 연타를 줄이고 자판을 효율적으로 배치해, 3-2015는 연속적인 타이핑에도 손이 덜 피로합니다.

3-2015는 3-2011에 비해서도 피로도가 많이 감소했습니다. 3-2011 자판에서 한글 입력 자체는 크게 편해지지 않았지만, 3-2015는 한글 입력도 한결 편해졌습니다.

접기

세벌식 3-2012

펼치기

3-2012 자판은 390 자판의 특징을 살리면서 한글 입력을 편하게 한 자판입니다. 또한, 특수기호도 390 자판은 QWERTY 자판과 여섯 군데가 다른 데 비해 3-2012 자판은 다섯 군데만 다릅니다. 3-2015의 특수기호 배열도 3-2012를 따랐습니다. 비록 390 자판의 불편한 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지만, 390 자판을 유의미하게 개선했습니다. 저 또한 3-2015를 개발하기 전에는 3-2012를 썼습니다.

3-2015 자판은 3-2012 자판의 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즉, 특수기호 배치가 동일하므로 QWERTY 자판에 가장 가깝게 특수기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다시 모든 겹받침을 되돌렸을 뿐 아니라, 사실 겹받침 없이도 훨씬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두 자판의 차이점을 아래에 정리합니다.

3-2012 자판에만 있는 부분
3-2015 자판에만 있는 부분

, , , , , 는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 입력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아래쪽에 적었습니다. ​3-2012 사용자는 3-2015에 적응하기 매우 쉽습니다. 도 같은 위치에 있고, 특수기호 위치도 같습니다. 오로지 받침만 바뀌었습니다. 갈마들이 방식으로 입력해야 하는 받침 위치만 익히고, 위치가 바뀐 것에만 적응하면 나머지는 익히고 말고 할 것도 없이 바로 편하게 쓸 수 있습니다.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덧붙입니다.

3-2015를 순아래 방식으로 사용한다면 물론 윗글쇠를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최대한 윗글쇠를 많이 눌러도, 3-2011 자판의 절반밖에 윗글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3-2015의 선택 규칙(된소리는 옆 글쇠를 같이 눌러 조합)을 사용한다면, 같은 글쇠를 연타하는 비율이 비약적으로 낮아집니다.

세벌식에서 된소리 때문에 같은 손가락을 거듭 사용하는 경우를 줄였으므로, 3-2012 자판이 49번에 한 번 정도 같은 손가락을 연타하는 데 반해 3-2015 자판은 131번에 한 번 꼴로 연타합니다.

​글쇠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누르기 어려운 위치에 있느냐, 그리고 윗글쇠를 얼마나 사용하느냐 등을 측정했습니다. 3-2015 자판이 더 글쇠를 누르기 쉽습니다.

같은 손가락 연타를 줄이고 자판을 효율적으로 배치해, 3-2015는 연속적인 타이핑에도 손이 덜 피로합니다.

3-2015는 3-2012에 비해서 피로도가 많이 감소했습니다. 3-2012 자판에서 한글 입력이 조금 편해졌다면, 3-2015은 3-2012에 비해서도 훨씬 편해졌습니다. 그러면서도 3-2012의 이점은 모두 담고 있습니다.

접기

신세벌식

펼치기

하이텔의 신광조님이 1995년 개발하신 신세벌식은 박경남 신세벌식, 박경남 수정 신세벌식, 신세벌식 2012 등으로 맥이 이어져 왔습니다. 신세벌식의 특징은, 숫자열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대신 왼손 글쇠 전체에 중성과 종성을 함께 배치한 데에 있습니다. 3-2015도 이 방식을 사용하여 효율을 높이고 피로도를 낮추었습니다.

다만, 숫자열을 쓰지 않는 것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왼손 전체에 중성과 종성을 함께 배치했기 때문에 공병우 세벌식에 비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는 리듬감이 다소 떨어지고, 왼손을 혹사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매력적인 자판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3-2015 자판은 신세벌식이 가지는 이점을 일부 받아들이면서도 공병우 세벌식의 틀 안에서 호환성을 높인 자판입니다. 가장 큰 특징이라면 왼손이 꼬여서 발생하는 피로가 덜하다는 점입니다.

정량적인 분석 결과를 덧붙입니다.

신세벌식은 왼손에서 같은 손가락을 연타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반면, 3-2015는 중성과 종성을 일부만 겹치게 했기 때문에 연타가 적습니다. 선택 규칙(된소리는 옆 글쇠를 같이 눌러 조합)으로 인해 같은 글쇠를 연타하는 비율이 더욱 낮아집니다.

같은 손가락을 거듭해 사용하는 비율은 신세벌식이 두벌식에 비해 낮습니다만, 앞에서 설명한 이유로 인해 공병우 계열 세벌식, 특히 3-2015에 비해서는 손가락을 혹사시키는 편입니다.

​신세벌식은 숫자열을 쓰지 않아 손의 이동이 적은 편입니다. 두벌식에 비해서는 손을 많이 움직입니다만, 그만큼 같은 손가락을 연달아 쓰는 빈도가 낮으므로 어느 정도 벌충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신세벌식은 윗글쇠를 쓰지 않고, 숫자열에 한글 글쇠가 없으므로 평균적으로 볼 때 글쇠의 위치 자체는 가장 편합니다.

반면, 앞에서도 언급했듯 왼손을 다소 혹사시키기 때문에, 3-2015에 비해서는 왼손에 피로가 누적될 확률이 높습니다.

이상의 효과를 종합해 볼 때, 3-2015가 신세벌식보다 더욱 편리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물론, 모델에 임의성이 어느 정도 있고, 또한 개인차가 있으므로 이 결과가 뒤집힐 가능성도 없는 것은 아닙니다. 신세벌식은 숫자열을 쓰지 않음에 따라 손이 덜 이동하고 글쇠가 평균적으로 좋은 위치에 있는 반면, 3-2015는 왼손을 덜 혹사시키는 차이입니다. 즉, 튼튼한 왼손을 가지고 계시다면 신세벌식을 쓰는 것도 좋고, 반면 손이 약간 더 움직여도 되니 왼손에 피로가 누적되는 것을 원치 않으신다면 3-2015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접기

안마태 소리 글판

펼치기

안마태 소리 글판은 모아치기에 특화된 자판입니다. 음절 단위 모아치기를 지향하는만큼, 이어치기를 가정하고 세운 피로 분석 모델로 분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추측할 수 있는 사항이 있습니다.

  • 속도 면에서는 모두 모아치는 안마태 소리 글판이 우월할 것입니다. 안마태 소리 글판은 속도를, 3-2015는 편안함을 위해 만든 자판입니다.
  • 만일 속기처럼 음절 단위로 모두 모아친다면, 안마태 소리 글판이 손목과 엄지에 가하는 피로가 클 것입니다. 속기사들의 고질적인 직업병이 손목 통증입니다.
  • 무한동시입력(N-key rollover)을 지원하지 않는 키보드에서는 안마태 소리 글판을 제대로 활용하기 힘듭니다.

요약하자면, 무한동시입력 키보드를 가지고 있는 분이 피로를 감수하고 극한의 속도로 치려면 안마태 소리 글판이나 신세기님이 개발하신 세벌식 모아치기 자판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반면, 장시간 편안하게 타이핑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3-2015가 그 취지에 맞습니다.

접기